전체 글 (30) 썸네일형 리스트형 적금 꼭 들어야할까?(적금/예금/투자/1억 모으기) "시드머니 1억을 만들 수 있으면 10억 모으는 거 금방입니다." 유튜브에 보면 초년생들에게 항상 전문가들이 귀가 닳도록 하는 말이다. 나는 24살에 일을 저축을 시작해서 1억을 31살이 돼서야 모을 수 있었는데...(8년 조금 안 걸린 것이다...) 1억을 모으며 생각했던 것들과 팁들을 공유하려고 한다. 돈을 모을 때 도움이 될만한 생각들을 정리해 보았다. 1. 퇴직후 받는 퇴직금을 가급적이면 쓰지 말자. 2. 적금과 요구불예금의 안분 저축 3. 고금리 시대에는 재테크 비중 줄이기 1. 퇴직후 받는 퇴직금을 가급적이면 쓰지 말자. 사회초년생이 처음부터 정말 괜찮은 직장에 입사한 것이 아니라면 평균 2~3년 근무하고 이직을 하게 된다. 나 같은 경우는 퇴직금을 IRP계좌로 수령하고 해당 금액을 보상심리로.. Why is the interest rate high? (loan/rate/financial common sense) When we live our lives "Why do savings banks have higher interest rates than banks?" I'm sure you've thought about this before. (Of course you may not have.) If you look at the Internet, savings banks, Saemaul Geumgo, and credit cooperative deposit products often give much higher interest rates than banks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but the main reason is how banks find money. When people h.. 이자율이 높은 이유?(대출/금리/금융상식) 우리는 살다 보면 "왜 저축은행은 은행보다 이자율이 높을까?" 이런 고민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물론 안 해봤을 수도 있다.) 인터넷을 보면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신협 예적금 상품은 은행보다 훨씬 더 많은 이자율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 이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은행이 돈을 구하는 방법 때문이다. 사람들은 돈이 있을 때 이걸 불편하게 현금으로 들고 다니지 않고 은행에 맡긴다. 아주 현명한 선택이다. 현금은 들고 있어 봐야 이자도 없기 때문에 은행에 맡겨 놓은 것이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흔히 은행에 돈을 맡겨 놓는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은행에 돈을 빌려준 것이다. 그렇기에 은행은 고객에게 이자를 주는 것이고 그 돈으로 다른 고객에게 대출을 해줘서 수익을 얻고 있다. 만약 저..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